‘대입 논술형 수능 체제 설계를 위한 평가 시스템 및 교원양성 프로그램 기초 연구: IB 사례를 중심으로(연구책임자 송진웅 서울대 교수)’ 보고서 공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수능과 내신이 둘 다 객관식 상대평가인 나라는 한국뿐/ 지필 선다형 시험은 형성평가로, 서술·논술·프로젝트형 평가는 총괄평가로/ IB는 타 교과와 실생활의 연계성을 우선 고려
1. 현 교육 정책으로는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를 제대로 키우지 못한다. 평가는 바꾸지 않은 채 교육과정 개정만 반복하는 것도 안타깝다.
‘새로운 학력 평가 지표 구성 및 평가 도구 개발 연구(연구책임자 손민호 인하대 교수)’는 ‘지필평가에서 공동 출제 의무’ 규정을 삭제해 교사별 평가권을 보장하고, 지필평가를 진단·형성평가로 활용하고 소논문·프로젝트·포트폴리오 등의 수행평가를 총괄평가로 하도록 교육부 훈령이 개정돼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대입 논술형 수능 체제 설계를 위한 평가 시스템 및 교원양성 프로그램 기초 연구: IB 사례를 중심으로(연구책임자 송진웅 서울대 교수)’라는 보고서가 공개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수능과 내신이 둘 다 객관식 상대평가인 나라는 한국뿐이다. ...... 서울대가 제안한 미래형 수능은 영국 에이레벨, 프랑스 바칼로레아, 독일 아비투어, IB(국제바칼로레아)의 대입시험 문제 유형을 지향한다.
서울대 보고서는 특히 IB를 집중 분석해 우리 교육과정, 대입시험, 내신, 교사 양성에 주는 시사점을 기술하고 있다. 미래형 수능은 각 교과의 실질적인 교육 혁신을 위해, 별도 논술 교과가 아니라 모든 교과를 서술·논술형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학교교육과 대입시험의 일체화를 위해, 미래형 수능은 미래형 내신과 동시에 적용돼야 한다. 지필 선다형 시험은 형성평가로, 서술·논술·프로젝트형 평가는 총괄평가로 바꾸는 교육부 평가 훈령 개정 및 내신조정시스템 도입을 미래형 내신으로 제안하고 있다.
2. IB는 초저출산, AI 혁명을 대비한 창의력, 융합적 사고 중심의 미래교육을 위한 시사점이 많다.
송진웅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IB는 지식보다 역량을 중시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호기심, 흥미, 태도 등 정의적 요소가 우선이며 평생 학습 능력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IB는 세계적 맥락 및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세 등을 강조하며 학문 간의 관계에 치중한다. 또 우리나라는 교과군 내에서의 연계성을 강조하지만 IB는 타 교과와 실생활의 연계성을 우선적으로 생각한다.
특히 송 교수는 우리나라는 넓고 얇게 배우는 반면, IB는 좁고 깊게 배운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이 학생 선택권을 확대하는 추세에 있지만, IB는 (물리학의 경우) 사회적 필요성을 심화과목의 변동 등을 통해 깊이를 채워간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1080919901
http://www.ed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