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 요약★/경제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1부 - 돈은 빚이다 (2012. 9. 24.) 요약

퍼스트무버 2024. 12. 29. 19:43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1부 - 돈은 빚이다 (2012. 9. 24.) 요약
https://youtu.be/0LYMTsj_eqc?si=M5GIf-Qgl7EFY-zV

 

1. 🌟 자본주의를 이해하는 첫걸음
2. 💰 금융자본주의의 기본 원리와 물가 상승
3. 💰 돈의 생성 및 유통 과정
4. 📉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순환
5. 📉 금융자본주의와 그 사회적 영향을 이해하기

 

자본주의의 본질과 그 작동 원리를 깊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세계적인 석학들의 통찰을 통해 금융자본주의의 구조돈의 유동성, 그리고 대출의 원리까지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이 과정에서 돈의 가치와 통화의 변화를 이해하며, 현대 경제 시스템의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식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경제적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통찰을 얻게 됩니다.

 

 

1. 🌟 자본주의를 이해하는 첫걸음

  • 자본주의는 말만 들어도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 그러나 자본주의를 모른 채 현대 사회를 살아갈 수는 없다.


2. 💰 금융자본주의의 기본 원리와 물가 상승

  • 현대는 금융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세상이며, 돈이 없는 삶은 불가능하다.
  • 짜장면 가격이 15원에서 4,500원으로 오르는 등, 물가는 50년간 300배 상승했으며 이는 단순한 수요와 공급의 법칙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
  • 물가 상승의 또 다른 원인은 통화량의 증가로, 시중에 돈이 많이 돌아다니게 되면서 가격이 오른다.
  • 금융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의 흐름과 양이 어떻게 변동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러한 개념을 통해 금융 자본주의의 구조와 원리를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3. 💰 돈의 생성 및 유통 과정

  • 대부분의 사람들은 돈이 조폐공사에서만 나온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극히 일부분만을 차지한다.
  •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찍은 돈이 시중은행으로 대출되면, 기업은 이 돈을 사용하여 이익을 내고, 다시 은행에 원금과 이자를 갚는다.
  • 은행은 예금된 돈의 일부만을 지급 준비금으로 남겨 두고, 나머지를 대출하여 새로운 돈을 창출하는 구조이다.
  • 이러한 대출 과정을 통해 시중에 존재하는 돈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으며, 이는 신용 창조라는 개념으로 설명된다.
  • 결과적으로, 통화량이 증가하면 돈의 가치가 감소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3.1. 돈의 발생 및 유통 과정
대부분의 사람들은 돈이 주로 조폐공사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시중에서 돌아다니는 돈의 극히 일부분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돈의 정확한 유통과 출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돈이 어떻게 흐르는지에 대한 깊은 고찰이 필요하다.
이 과정은 돈의 발생과 유통을 명확히 이해하는 데 중요한 첫 걸음이 된다.

3.2. 은행의 대출과 돈의 증식 원리
한국은행이 조폐공사에서 찍은 100원이 시중은행에 전달되면, 중소기업 사장은 이 돈을 대출받아 기계 구입 및 월급 지급을 한다.
기업이 은행에 갚은 이자 및 원금 50원은 다시 다른 대출자에게 전달되어 학원 운영비 및 월급으로 쓰이게 된다.
시중의 돈은 100원보다 더 많으며, 은행은 예금한 금액 중 일부만을 남기고 나머지를 대출하여 돈을 증식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100원이 은행에 있을 때, 은행은 90원을 대출할 수 있으며, 총 190원이 있다는 결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시스템은 정부와 은행 간의 약속에 기반하며, 지급 준비율(대출 가능한 비율)에 따라 은행이 대출을 운영한다.

3.3. 중앙은행과 지급준비율의 역할
은행은 지급 준비율에 따라 예치된 돈의 일부만 남기고 나머지를 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원의 예치금 중 10%인 10원을 남기고 90원을 대출 가능하다.
금세공업자의 역사를 통해 지급 준비율의 개념이 형성되었으며, 금을 보관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대출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대 은행은 지급 준비율을 통해 통화량을 조절하며, 이러한 시스템이 최근에도 여전히 적용된다.
한국은행의 현재 평균 지급 준비율은 약 3.5%이며, 이를 기반으로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 대출과 통화량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대출이 반복되어 발생하는 신용 창조 과정을 거쳐, 전체 통화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최근 50년간 통화량 상승과 물가 상승의 관계를 보여준다.

3.4. 통화팽창 인플레이션의 원리와 영향
물가 상승의 주된 원인은 과도한 통화량 증가로, 이는 결국 돈의 가치를 떨어뜨리며 인플레이션을 야기한다.
중앙은행은 기준 금리를 통해 통화량을 조절, 하지만 이자를 갚기 위해 계속해서 돈을 찍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으로 경제적 풍요를 가져오지만, 결국 이를 갚아야 할 세대에게 심각한 경제적 부담을 안길 수 있다.
모든 금융 시스템에서는 빚을 갚기 위해 누군가의 대출금을 필요로 하며, 이 과정에서 경쟁과 자원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통화량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되면 급격한 부도와 파산 사태가 발생하고, 이는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3.5. 디플레이션의 부정적 영향
디플레이션이 시작되면 돈의 유동성이 줄어들어 여러 산업에서 거품이 터지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돈이 부족해짐에 따라 기업들은 활동이 위축되고, 생산과 투자를 줄이는 상황이 나타난다.
특히, 신규 채용을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존 직원들도 해고하게 되어 일자리가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로 인해 사람들이 돈을 벌기가 어려워지며,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디플레이션은 사회 전반의 모든 사람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여겨진다.

 

4. 📉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순환

  • 인플레이션 후에 오는 디플레이션은 자본주의 경제의 필연적인 과정으로, 이는 호황이 빚으로 쌓여 있기 때문이다.
  • 이 과정에서 자본이 아닌 빌린 돈으로 인해 경제의 변동성이 발생한다.
  • 콘드라티예프 주기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약 48에서 60년 주기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한다.
  • 현재 미국은 2000년부터 겨울 주기를 겪고 있으며, 이는 급격한 이자율 하락으로 나타나고 있다.
  • 그 결과, 금융 회사들이 빚을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대출함으로써 금융 위기가 시작되었다.

 

5. 📉 금융자본주의와 그 사회적 영향을 이해하기

  • 부동산 시장의 부진과 금융위기의 원인을 통해, 우리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어려운 부채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미국 달러가 세계 기축 통화가 된 배경은 브레튼우즈 협정에 의한 통화 고정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금태환제를 폐지하면서 그 가치가 달라졌다.
  • 연방준비은행(Fed)는 미국 정부가 아닌 민간은행에 의해 운영되며, 이로 인해 전 세계의 금융 시스템이 미국의 정책에 의존하고 있다.
  • 자본주의에서 돈은 빚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우리의 경제 상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 현재 디플레이션 시대임을 인식하고, 빚을 무작정 늘리라는 유혹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