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문부과학성(2021). 교사의 학습과 전문성 향상 방안 6가지/ '장래 모습'과 '현재 모습' 사이를 좁힌다는 목적의식을 명확히 하고 연수를 포함해 필요한 학습을 순차적으로 선택(체계적・계획적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의 학습 성과가 조직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것은, 교사 개인 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로서도 얻을 수 있는 것이 크다
교사의 학습과 전문성 향상 방안(조건) 6가지
(1)협력적인 교사 학습
지식과 기능의 습득 뿐만 아니라 교사로서 적합한 자질과 능력을 폭넓게 습득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을 개별로 학습하는 것(개별 맞춤형 학습)도 필요하지만, 다른 교사와 대화하고 함께 성찰하는 등의 기회를 교사의 학습과정 안에서 확보하는 것 즉, 협력적인 교사 학습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각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내 연수와 수업 연구 등, 「현장의 경험」을 포함한 학습에서 동료교사와의 학습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학교관리자는 리더십을 발휘하여 그러한 기회를 마련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온라인으로 소그룹을 만들어 교사간 서로 배우는 기회를 마련하는 등의 방법으로 협력적인 학습을 실현하는 것은 가능하며 다양한 기회를 포착해 다양한 형태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협력적인 교사의 학습이 적절하게 마련된다면 교사의 개별 맞춤형 학습이 개별적 고립된 학습으로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교사의 목표 설정(장래 모습)과 현황(현재 모습) 파악
자율적, 체계적·계획적인 학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학습을 되돌아보면서, 적절한 목표를 설정하고 현재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각 교사가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에 비추어, 어떠한 지식과 기능을 몸에 익히고 싶은지라는 관점에서, 「장래 모습」이 교사의 목표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시에, 한사람 한사람의 교사가 지금까지 어떠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현재 모습」을 자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현재 모습」은, 지금까지의 학습 이력과 스스로에 대한 평가 등을 바탕으로 하며, 가능한 한 객관적인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장래 모습'과 '현재 모습' 사이를 좁힌다는 목적의식을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명권자 등이 개설하는 연수도 포함해 필요한 학습을 순차적으로 선택(체계적・계획적 학습)하는 것이 교사의 자율적인 학습의 원동력이 된다.
- 장래 모습: 어떠한 지식과 기능을 몸에 익히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설정하기
- 현재 모습: 지금까지 어떠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했는지, 지금까지의 학습 이력과 스스로에 대한 평가 등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기
- '장래 모습'과 '현재 모습' 사이를 좁힌다는 목적의식을 명확히 하고, 이에 필요한 학습을 순차적으로 선택(체계적・계획적 학습)하기
(3)임명권자·복무감독자·학교관리자와 교사의 적극적인 '대화'
'장래 모습'은 교사 자신이 처한 상황을 바탕으로 개개인의 의욕과 관심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기본이 되지만, 해당 교사가 향후 학교 조직에서 수행해야 하는 역할도 고려하여 해당 교사의 임명권자 또는 고용자 및 복무감독자의 요구와도 조화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장래 모습'과 '현재 모습'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교사와 임명권자나 복무감독권자·학교관리자 등이 교원육성지표와 지금까지의 연수 수강 이력 등을 재료로 함께 적극적으로 대화를 하는 등 임명권자나 복무감독권자·학교관리직 등이 교사의 의욕을 환기시키면서 적절하게 교사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아울러 임명권자나 복무감독권자, 학교관리자 등이 적절한 연수를 장려하는 것이 교사 학습의 계기와 기회를 확실하게 제공하기 위해 중요하다. 장학적 관점에서 예를 들어 이론과 실천의 균형 등에도 유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4)질 높은 학습 컨텐츠의 풍부한 제공
온디멘드(On-demand)형 뿐만 아니라, 실시간 쌍방향형까지 양질의 학습 컨텐츠가 풍부하게 제공되고, 온라인으로 조금씩 배워나가는 스타일(특히 지식의 습득과 실천을 세트로 반복하는 스타일도 포함) 등 교사가 부담 없이 선택하고, 수강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 컨텐츠는 이론적인 것과 실천적인 것이 균형있게 포함되고, 이른바 하우투(How to)를 전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본질까지 거슬러 올라가 깊은 깨달음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되는 것이 기대된다. 또한, 반드시 대학 등의 강의 스타일 뿐만 아니라 반전학습이나 실천적인 워크숍 등 다양한 방법도 채택되어져야 한다. 학습 콘텐츠에 대해서도 시대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지식을 도입하는 등 계속적으로 쇄신될 필요가 있다.
(5)지식 전달형 학습 콘텐츠에 머무르지 않고 교사 스스로의 경험과 다른 교사로부터 배우는 「현장 경험」을 포함한 학습 제공
자신의 일상 속 경험과 다른 교사로부터 배우는 「현장 경험」 중심 스타일의 학습이 요구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관리자의 리더쉽 아래 각 학교에서 진행되는 교내 연수와 수업 연구 뿐만 아니라, 학교의 여러 기회와 상황을, 지역과 학교 현장의 과제 해결을 통한 교사 학습과 연결지어 활용해 나가는 등, 일상적인 OJT(on the job training)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학습이 지식전달형의 학습 컨텐츠를 통한 학습과, 교사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조합될 필요가 있다. 각 학교는 규모도 놓여진 상황도 다르므로, 여러 학교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온라인에서의 학습을 조합한 연수를 내실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6)학습 성과가 조직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것
교사의 학습 성과가 가시화되는 것은, 교사 개인 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로서도 얻을 수 있는 것이 크다. 교사 학습이 가시화되면 임명권자나 복무 감독권자·학교관리자 등에게는 특정 사항에 뛰어난 교사의 발굴과 인사 배치 및 교무 분장의 결정 기타 운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학습 성과를 주위의 교사도 이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일상 업무에서 학습 성과를 적절히 살리는 것이 용이해 지게 되기 때문에 교사 개인의 학습 성과를 학교 전체의 교육력 향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별 교사가 다음의 학습을 진행하는 것에 대한 조직으로서의 협력을 구하기 쉬워지면서 조직 전체의 교육력이 향상되어 학생의 양질의 학습으로 이어진다.
* 출처: 일본 문부과학성(2021) 【資料2-1】 「令和の日本型学校教育」を担う新たな教師の学びの姿の実現に向けて(審議まとめ) 일부 발췌 재구성 및 번역 조규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