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교육은 학생 모두 학습에 성공하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개인별 맞춤형 교육'을 구현하는 것/ 개별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배움중심수업'이란?/ 실시간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지는 배움중심수업, 학생 주도로 만들어가는 융합프로젝트 수업,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1. 특히 고교학점제를 대비한 고교 선택과목의 재구조화에 대해서는 미래 교육을 위한 방안임을 교과 전공자들이 수용해야 할 것이다. 우리가 지향하는 미래 교육은 학생 모두 학습에 성공하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개인별 맞춤형 교육'을 구현하는 것이고, 고교학점제는 이를 위해 필수적인 제도라는 공감대 형성이 더 필요하다. ...... 이제 디지털전환과 함께 인공지능(AI)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모든 학생이 공통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이 줄어들고 개인별 꿈과 진로에 따라 개별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경직적이고 표준화된 근대식 교육과정의 한계를 뛰어넘어 개인별 맞춤형 교육으로 가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 교과에서는 각 과목의 성취기준(standard, 기존의 학습목표)에 주제명을 표시하기로 했다. 주제명을 표시해야 사회쟁점을 수업시간에 다룰 때 느끼는 교사의 불안을 예방할 수 있다. 민주시민교육이나 생태환경교육을 하면 아무래도 현 사회의 어두운 면을 파헤치게 되는데, 이때 교과서 집필진은 심의에서 떨어질까 자꾸 핵심 주제를 회피하고 싶어지기 때문이다. 사회 정의를 가르치려면 해당 주제를 구체적으로 성취기준에 드러나게 해야 한다.
그리고 뛰어난 교사들의 잘되는 수업을 보면, 주제를 놓고 여러 자료를 써서 통합적으로 하는데, 이게 일반화되는 것이다. 학교 교실에서 잘되는 수업을 잘 관찰해서 얻은 현장의 통찰을 적용한 부분이어서 좋다.
관습적으로 쓰이는 ‘지식, 기능, 태도’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로 표현한 점도 매우 좋았다. 그간의 연구를 반영한 것인데, 공부가 목표로 하는 지점이 더 잘 전달된다. 특히 태도를 ‘가치·태도’라고 한 점이 와 닿았다. 연구자들의 연구가 헛되지 않았다.
3.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란?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동영상, e-book, PDF 등)를 활용하여 제작한 교육자료 중 교육과정 정합성을 충족시키는 넓은 의미의 교수·학습자료를 총칭한다.
4. '배움중심수업'은 충분히 배우는 수업으로, 학생과 교사에게 동시에 배움이 일어난다. 학생은 친구들과 함께 하는 협력적 참여가 증가하면서 배우고, 교원은 전문적인 학습공동체로 기존 교육방법 등을 성찰한다.
배움중심수업에서 교원은 '지식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질문으로 출발한다. 정답을 던져주기 보다, 학생들이 스스로 깨달아 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전개하고 평가를 한다.
- 실시간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지는 배움중심수업: 온라인으로 상황만 옮겨졌다 뿐이지, 교사와 학생이 소통하고 학생 간에도 소통할 수 있는 수업이 이루어져야 진정한 배움이 일어날 수 있다.
- 학생 주도로 만들어가는 융합프로젝트 수업: 학생들이 스스로 의미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스스로 탐구하는 수업이다.
-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새로운 학습형태에 어울리는 배움과 경험을 조직하기 위하여 동료 선생님들과 지속적으로 교육과정 회의를 하고 함께 수업을 만들어나간다.
https://news.v.daum.net/v/20211220160128122
http://www.segye.com/newsView/20211215519069?OutUrl=daum
https://if-blog.tistory.com/12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