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 미래교육 보고서/미래교육

학교의 존재 이유/ 미래 교실에서 교사의 역할/ ‘T자형 인재’, ‘M자형 인재’, 그리고 ‘X with AI’/ 블룸 완전학습, 학습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2가지 전략/ 학급당 학생 수 감축 프로젝트(CSR(..

퍼스트무버 2022. 1. 25. 02:05

학교의 존재 이유/ 미래 교실에서 교사의 역할/ ‘T자형 인재’, ‘M자형 인재’, 그리고 ‘X with AI’/ 블룸 완전학습, 학습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2가지 전략/ 학급당 학생 수 감축 프로젝트(CSR(class size reduction) project)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



 

블룸 완전학습, 학습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2가지 전략

미래 학교의 방향은 ‘모든 학생이 학습의 성공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라는 학교의 존재 이유에 대해 공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1968년에 벤자민 블룸(Benjamin Bloom)은 모든 학생이 학습에 성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완전학습(Mastery Learning)이론을 제시하였다. 완전학습이 이루어지려면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파악하고 개별 학생에게 맞는 학습의 시간을 제공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학교는 개별 학생에게 필요로 하는 시간에 대한 고려 없이 똑같은 학습의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치명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 블룸의 완전학습 이론을 적용해서 학습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완전학습 이론에서 학습의 성과>
학습 성과 = (학습에 사용된 시간) / (학습에 필요한 시간)

1. 분모에 해당하는 개별 학생들이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정확히 파악하고 최소화시키는 전략이다. 우선 개별 학생의 적성과 수업이해력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데, 이를 진단평가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한 후에 이에 맞는 교수법을 활용하여 수업의 질을 높여줌으로써 개별 학생에게 필요로 하는 학습의 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2. 개별 학생에게 필요한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에 개별적 교수 전략을 활용하여 학습에 성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교육계에서는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가장 효율적인 교수전략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

 

 

 

학급당 학생 수 감축 프로젝트(CSR(class size reduction) project)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

벤자민 블룸의 완전학습 이론과 ‘일대일 맞춤형 교육(one-to-one tutoring)’의 방향에 대해서 많은 교육자가 공감을 갖게 되어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그중에서도 미국에서 이루어진 가장 대표적이면서 대규모 교육 실험이 학급당 학생 수를 줄여서 맞춤형 교육을 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칭하여 ‘학급당 학생 수 감축 프로젝트(CSR(class size reduction) project)’라고 할 수 있다. ...... 미국에서 진행된 학급 규모 감축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미국에서 수행된 학급 규모 감축 연구에서 소규모 학급의 교육 효과는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그 결과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2. 학급 규모 감축의 교육 효과는 상급학교 보다 하급학교의 하급학년에서 더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3. 소규모 학급의 교육적 효과는 학생 활동 측면보다는 교사 활동 측면에서 업무를 경감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학급 규모 감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급 규모를 감축함과 동시에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의 측면에서 혁신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미래 교실에서 교사의 역할

일대일 맞춤형 교육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에게 필요한 학습의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진단평가가 이루어지고 학습의 과정에서 지속적인 형성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학생의 학습 진단을 기반으로 학생에게 필요한 학습에 대한 처방이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이에 따라 교수-학습의 과정을 진행하고, 수업의 결과를 평가로 확인하고, 이를 기록하고 학생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

AI 보조교사 시스템은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개인별 맞춤형 학습지원 시스템 및 AI 자동 채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데이터 중심의 학습 분석을 기반으로 한 개인형 맞춤 학습의 실현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 여기서 중요한 것은 교사가 AI 보조교사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교사가 교육을 직접 주도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점이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에듀테크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AI 보조교사’의 역할이 수행되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사가 AI 보조교사의 지원을 받아서 더 효과적으로 수업을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미래 교실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모라벡의 역설에서는 인간이 컴퓨터보다 잘하는 일과 컴퓨터가 인간보다 잘하는 일의 영역이 구분된다는 함의를 주고 있다. 

  • 컴퓨터: 많은 데이터를 수집, 관리, 분석하고 패턴화된 예측을 수행하는 것은 컴퓨터가 더 잘 할 수 있는 일에 속한다.
  • 인간: 인간인 교사는 학생들과 의사소통하면서 개별화된 학습 지도를 위해 동기를 자극하고 자기 주도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격려, 배려, 지원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사는 지식교육을 바탕으로 미래 역량을 길러주는 창의적 학습을 지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T자형 인재’, ‘M자형 인재’, 그리고 ‘X with AI’ 
  • I자형 인재: 한 분야에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춘 인재
  • T자형 인재: 넓은 영역의 지식 기반을 갖추고 하나의 특정 영역에서 전문성을 깊이 있게 갖춘 인재(IBM제시)
  • M자형 인재: 여러 분야에서 깊이 있는 전문성을 갖춘 인재.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분야를 넓혀갈 수 있는 메타인지 역량을 갖춘 확장형 인재.
  • X with AI: 인공지능 분야의 역량을 갖춘 분야별 전문가. (한 분야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인재(expert)가 인공지능 기술로 대표되는 첨단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경우)


필자는 ‘인공지능 분야의 역량을 갖춘 교육전문가’라는 표현으로 ‘EX with AI’라고 표현하고 싶다. EX with AI가 바로 미래형 인재인 교육 분야의 ‘M자형 인재’라고 할 수 있다. ...... 인간 교사가 AI 보조교사를 잘 활용하여 도움을 받게 되면 이를 증강지능(augmented intelligence)을 갖춘 강력한 역량을 갖춘 EX with AI라고 할 수 있다. ...... 교사의 경우에도 AI 보조교사의 지원을 받게 되면 지금보다는 더 뛰어난 교육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http://naver.me/FjoPwzM1

 

인공지능 시대, 선생님의 역할 변화를 알아보자! [미래 교육 칼럼 #5]

[BY 교육부] 학교가 존재하는 이유는 모든 학생이 학습의 과정에서 성공을 경험하게 하기 위함이다. 산...

m.post.naver.com